획기적인 16가지의 비즈니스 모델 패턴 제시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16가지 비즈니스모델 패턴
젠 패턴은 젠 캔버스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때 참고하면 좋을 유용한 패턴들을 가득 담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며 사용하는 입장에서 틈나는 대로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 직접 적용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비즈니스 모델 젠 패턴 (Zen Pattern)은 비즈니스 발상 프레임웍인 SOFT Ideation(소프트 아이데이션)에 기초하고 있다. SOFT Ideation은 수백 가지의 비즈니스 모델 및 제품 혁신 사례를 저자가 연구하던 과정에 개발한 것으로 원래의 용도는 신규 비즈니스 발상 기법을 돕기 위한 것이다. 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혁신 사례를 프레임웍화하여 발상과정에서 재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꼭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라 하더라도 일반적인 혁신 발상 과정에 접목할 수 있는 프레임웍인데, 이는 보다 포괄적인 주제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여기서 자세히 다루지는 않겠다. 관심 있는 독자는 해당 도서 ‘당신은 이노베이션’을 참고하기 바란다.
BM 패턴 예시 : 오픈 협업 생산 모델
오픈 협업 생산모델은 IT에서 유행하고 있는 오픈 소스 개발방식을 비즈니스에 적용한 것이다. 긴 제품 개발기간이 필요하고, 생산비용이 높은 분야에서 특히 커뮤니티 내 협업을 이용한 오픈 협업 생산모델은 효과적이다.
자동차와 건설 등 전통적으로 설비투자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입이 어려운 시장일수록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나오기 어려웠다. 연구개발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평균 생산 비용도 높기 때문에 이전과 다른 시도를 하는 데 따른 위험 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맥락에서 발견한 비즈니스 기회
이러한 곳에 창의적인 소수가 디자인하고, 참여적 다수가 의견을 개진하면서 가지고 싶은 제품을 같이 설계해가는 협업 생산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이 늘고 있다.
해당 비즈니스 모델의 장점은 동시에 집단 협업을 통해 디자인하기 때문에 기존 제품 대비 훨씬 적은 기간과 비용만으로 참신한 제품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다수의 사람들이 디자이너의 역할도 하고, 소비자의 역할도 하는 커뮤니티 마켓플레이스의 특성을 지닐 경우에 보다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잠깐 동안 반짝할 일회성 제품보다는 라이프 스타일 영향도가 높은 제품들에서 이러한 협업생산 방식이 효과를 발휘한다. 최근에는 소비재 제품들로까지 이러한 협업 생산 모델이 확산되고 있다.

오픈 협업 생산 모델의 패턴
젠 캔버스로 그린 로컬모터즈 사례
로컬모터즈는 수제자동차를 디자인하여 판매하는 기업이다. 가장 큰 특징은 공모전을 통해 개인 디자이너들로부터 차량 디자인을 등록 받은 후, 가장 인기가 높고 실현성이 있는 디자인을 선정해 제품화한다는 점이다.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자신의 집 근처에 있는 로컬모터즈의 공장에서 차량 제작 과정에 같이 참여할 수 있다. 차량의 구동부분은 상당 부분 메이저 자동차 회사로부터 조달 받고, 로컬모터즈는 주로 외관 디자인, 실내 인테리어 부분 등을 새로 제작해 조립한다. 최근에는 일반 부품의 디자인과 제작까지도 손대고 있다.

오픈 협업 생산 모델이 적용된 사례 (로컬모터즈)

오픈 협업 생산 모델이 적용된 사례 (로컬모터즈)
전체 비즈니스모델 젠 패턴에 대한 내용은 비즈니스모델 젠 워크북에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