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이후로 7천여명 이상이 참여해 온 세계적 수준의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워크샵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비즈니스모델 디자인 및 고도화 워크샵, 시장 문제 발견 및 아이디어 탐색, 사업 전략 및 활성화 방안 수립 워크샵 등 다양한 형태로 초기기업부터 중견/중소기업의 본질의 탐구, 성과의 창출을 돕고 있습니다.
- 주관 기관 담당자 피드백

임직원들의 비즈니스모델 관련 경쟁력 향상
삼성전자 한국총괄 B2B 부문 총괄기획팀 리더
삼성전자 한국총괄 B2B 부문 총괄기획팀 리더


좀 더 기업가적인 관점에서 프로그램 운영 가능해짐
KOTRA 캄보디아 Global Accelerator Center 센터장
KOTRA 캄보디아 Global Accelerator Center 센터장


참가자의 니즈와 특성에 맞게 비즈니스 관점 형성
SK 아트센터 나비 기업가형 아티스트 지원 담당자
SK 아트센터 나비 기업가형 아티스트 지원 담당자


소셜벤처 위한 내부 학습과정에서 좋은 사례 도출됨
대덕 풀뿌리 사람들 교육 담당팀장
대덕 풀뿌리 사람들 교육 담당팀장


네팔 현지의 기업가 육성에 큰 도움이 될 것임
Nepal Pokara University 교수, 기술창업석사 프로그램 담당
Nepal Pokara University 교수, 기술창업석사 프로그램 담당


역대 창업 캠프 중 최고였음
안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담당자
안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담당자


환경 기술이 널리 활용되기 위한 분임 워크샵 성과 얻음
환경산업기술연구원 제주 환경기술 컨퍼런스 기획운영 담당자
환경산업기술연구원 제주 환경기술 컨퍼런스 기획운영 담당자

- 교육 참가자 피드백

체계적으로 단계를 가지며 의견을 나누는 교육
K 이동통신 사업 개발 부문 부장
K 이동통신 사업 개발 부문 부장


고객 입장에서 의미있는 제품 방향 실마리 찾음
S 전자 사내벤처팀 리더
S 전자 사내벤처팀 리더


고객 인터뷰 등을 통해 사업을 발전시킴
KOTRA GAC BootCamp @프놈펜 참가팀 리더
KOTRA GAC BootCamp @프놈펜 참가팀 리더


비즈니스모델뿐 아니라 나 자신을 성찰해 봄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 스타트업 CEO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 스타트업 CEO


기존에 놓치던 부분들을 알게된 과정
자활 인큐베이터 육성과정 - 강원권역 자활센터 실장
자활 인큐베이터 육성과정 - 강원권역 자활센터 실장


지속가능한 사업모델 만드는 데 큰 도움
LH소셜벤처 참가기업 2기팀 CEO (제조부문)
LH소셜벤처 참가기업 2기팀 CEO (제조부문)


고객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할 지 많은 질문을 가지게 한 과정
S 전자 융합형 비즈니스 기획과정 참가자 (로봇 가전 개발 기획 담당)
S 전자 융합형 비즈니스 기획과정 참가자 (로봇 가전 개발 기획 담당)

워크샵 진행 주제, 기간, 대상 섹터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비즈니스모델 혁신 워크샵 (3 Types of BM Innovation)
세가지 관점에서 시장의 평균적 수준을 넘어서는 차별화된 비즈니스모델의 혁신을 이루는 과정을 촉진하고 가치/비용 측면의 트레이드오프를 체크

>> 통신장비.인프라기업 T사 사례: 관리자 레벨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모델 혁신 워크샵 진행
‘비즈니스모델 차원에서 새롭게 고민해 보고 세가지 관점에서 분과 토의를 통해 회사의 신사업을 그려보니 여러가지 깨닫는 것이 많은 시간이었습니다.’ – 참가자 코멘트

>> 플랫폼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워크샵
플랫폼의 작동원리와 디자인 원칙, 플랫폼 비즈니스모델 패턴등을 학습하고 실제로 (기존/신규) 비즈니스에 플랫폼적 사고를 접목하여 디자인한 후 활성화 전략 수립

>> 건설 분야 대기업 D사 사례: 전사적인 플랫폼 컴퍼니로서의 전환을 위한 C-Level 워크샵 진행
’이전에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하면 팀장, 임원들의 이해도가 나와 달라 어려움이 있었는데 오늘을 계기로 플랫폼 전환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집중하는 모습을 보게 되어 흐뭇합니다’ – 대표이사 코멘트

>> 아이디어 탐색 단계를 위한 EDC 워크샵
아이디어(고객문제와 해법)을 발견하고 탐색해 가며 집중적인 발굴과정을 거쳐 하나의 제품/서비스 컨셉으로 완성

>> 초기 스타트업 육성 캠퍼스 적용 사례: 12주간의 시그니처코스 중 초기 3주간의 필수과정으로 진행. 탐색(Exploration)-발굴(Dig In/Out)-컨셉화 (Conception)
‘교육을 듣고 워크샵을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생각을 동시에 하게 되었습니다. 코치분들의 경험과 다양한 사례와 시각을 함께 접하니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참가팀 코멘트

>> 아이디어 탐색 워크샵 현장 (예시)
EDC Workshop (2Days)

>> 스타트업 비즈니스 워크샵/코칭 프로그램
단계별로 시장의 문제를 발견 후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사업모델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밟아가며 문제정의-해법정의-(고객인터뷰)-사업모델-가설검증을 거친 후 팀별 사업화 코칭을 진행함

>> 소셜벤처 대표 육성기관 L재단 사례: 일회성 멘토링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심도있는 코칭과 팀의 핵심이슈 해결 성과 도출
– 팀 마다 다른 스테이지, 이슈에 따른 과제 해결 성과 (수익성 개선, 프로젝트 기법 도입, 비전/마일스톤 수립, BM 고도화, 사업의 정체성 재정의, 가설검증 및 고객 개발 등). 2019년 확대 시행 예정

‘강의와 워크샵을 듣고 나의 사업을 대입해 보는 3일간의 시간동안 내가 사업을 잘못 접근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새벽에도 해외 논문을 뒤지며 발전시켜 나간 시간들이 너무나 소중하다.’
– 참가기업 후기중

>> 중견기업 핵심리더를 위한 비즈니스 혁신 워크샵
단계별로 시장의 문제를 발견 후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사업모델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밟아가며 문제정의-해법정의-고객인터뷰-사업모델-가설검증을 거친 후 프로젝트 러닝 관점에서 사업화 코칭을 진행

>> 글로벌기업 S사 사례: 전사 워크샵 후 2년 연속 두자리 이상 성장율 목표 달성
70여개 이상의 가능성있는 BM발굴 및 사내 지식 DB화 진행. 기존에 자신의 담당 고객 어카운트만 바라보던 사일로 될 수 있는 시각을 벗어나 어카운트간을 연결하는 Big Biz Model 관점 탑재

>> 글로벌기업 U사 사례: 경영진 눈높이 충족 및 발굴된 사업내용 이해당사자 세일즈 성공
교육목적이었음에도 두개팀 중 한팀은 실제로 새로운 해외사업에서1억원 내외의 매출까지 발생 (확장 가능한 새로운 시각 제시)
다른 한팀의 경우도 국내에서 벌일 신사업에 중요한 결과물 도출

>> 글로벌기업 S사 사례: 4Days 워크샵 통해 탑다운,보텀업을 포괄하는 사업/제품개발 방법을 학습
‘‘하나 하나 따로는 일부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방법과 프레임들이 어떤 식으로 연결되고 흘러가는지를 4일간 이해하고 실습하다보니 그간 현업에서 했던 내용들이 큰 틀에서 정리되고 새로 적용해 보고 싶은 것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 참가자 코멘트

>> 대표 중기지원기관 S사 사례: 임직원 필수 컨설턴트 역량 향상 과정. 기업 입장과 컨설턴트의 입장을 동시에 이해하며 입체적 관점 가지게 됨
‘사업분석, 이슈진단, 코칭논점에 이르는 일련의 코칭 프로세스를 통해 코칭이라는 것이 상대에게 열쇠를 쥐어주는 것이 아닌 열쇠를 찾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배운 코칭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관의 전문가로서 성장하고 실제 상담에도 적용해 보려 합니다.’ – 참가자 코멘트

>> 비즈니스혁신 워크샵 현장
BM 후보군 도출 및 비교 평가

>> 비즈니스혁신 워크샵 현장
Biz Model 수립 워크샵

>> 사내벤처 액셀러레이팅 교육 및 코칭 프로그램
고객개발-비즈니스모델 디자인-성장전략 워크샵으로 이어지는 전체 진행을 통해 사내벤처팀의 직접적인 성과창출에 기여

>> 식품 바이오 S그룹 사례: 사내벤처 프로그램 진행 후 임직원이 함께하는 사내 데모데이 개최
보텀업 기반 오픈 이노베이션과 사내벤처 제도 신설 후 3개월간 워크샵, 팀코칭 통해 고객 관점에서 실험하고 사업모델을 세팅하는 사내벤처 과정 진행. 올해 고도화된 방식으로 전환 위한 교훈과 성과를 공유

>> 마인드셋 게임 (Mindset Game) 워크샵
혁신가 육성을 위해 마인드셋을 함양하고 성찰하기 위한 활동 기반 변화 프로그램

>> 제품/서비스 컨셉 개발(Conception) 워크샵
본질을 추구하며 동시에 고객의 고충을 해결하고, 업계의 상식과 거리를 둔 독창적인 제품/서비스 컨셉을 만들기 위한 탐색 및 컨셉 (재)정의 프로그램

>> 창의적 비즈니스발상 워크샵 (SOFT Ideation)
500여개 혁신 사례에서 추출한 25개 혁신 명제 활용. 게임화 기법과 가이드 기반 브레인스토밍 통해 높은 아이디어 생산성 창출

>> 차별화 비즈니스 발견 워크샵 (Business Pattern Game)
고객/상품/채널/수익모델을 사칙연산기법과 38개의 BM 패턴을 활용하여 차별화 변환, 게임화 기법과 What-If 사고를 활용한 미지의 기회요인 발굴

>> 산업분석/트렌드 기반 기회 탐색 워크샵
거시트렌드와 이로 인한 영향들을 파악하고 산업 차원에서 힘의 역학과 점검 사항들을 전략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방향성 수립

>> 워크샵 등 과정에 사용될 교구 (예시)
비즈니스 모델 디자인, 실험활동 프로세스를 위한 액션보드 등

>> 워크샵 등 과정에 사용될 교구 (예시)
기타 탐색, 비즈니스 디자인, 가설 검증 과정을 위해 다양한 전용 툴킷을 워크샵에 활용합니다.
- 워크샵 진행 주제
- 혁신 마인드셋으로의 변화 (예: Lean Mindset Game 등)
- 제품/서비스 아이디어 발굴 (예: EDC/Exploration-Dig In/Out-Conception 워크샵)
- 비즈니스모델 디자인 (예: BM Design 워크샵)
- 비즈니스모델 개선 및 고도화 (예: BM Renovating 워크샵)
- 고객 개발 및 사업 가설 검증 (예: Experiment 워크샵)
- 비즈니스모델의 패턴 재구성 (예: Business Pattern Game 워크샵)
- 성장 메커니즘 점검 및 전략 수립 (예: ActionBoard 워크샵)
- 시장 진입/경쟁/협력/수성/가격/채널 등의 사업 전략 수립
- 플랫폼 비즈니스 디자인
- 트렌드 기반 기회 탐색
- 산업 분석 및 전략 수립
- 린스타트업/블루오션전략/서비스디자인
- 비즈니스 혁신 코칭 기반
- 워크샵 진행 방식
- 공개 과정
- 기업 맞춤형 출장 교육
-
- 대기업 연수원 및 사업 부문
- 대기업 상용 연구 부문
-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 육성 기관
- 일자리 창출 전담 기관
- 연구원 기술 사업화 부문
- 강소 기업 전사 단위
- 스타트업 전사 단위
-
- 워크샵 진행 기간
- 통상적 워크샵: Half-Day, One-Day, Two-Day 워크샵
- 3일~5일간 진행되는 캠프 형태의 워크샵
상담방식 Click ► 이메일 상담 | ► 카카오톡 상담 | ► 전화 상담 (02.3454.1108)
▼ 바로 문의하기 (아래 입력 후 전송)